맹자(BC 371~289)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게 태어난다는 성선설을 주장하였습니다. 그가 정리한 내용에 따르면, 본성은 하늘이 인간에게 부여한 것으로 태어날 때부터 선한 마음을 지니고 있다는 것입니다. 어려움에 처한 타인을 보면 누구나 안타깝고 불쌍하게 여기는 마음이 드는 측은지심을 성선설의 근거로 삼았습니다.
이미지 출처: 이데일리
더불어 사람들은 모두 선하게 태어나지만 다 선한 사람으로 살아가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그 이유는 선한 본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러지 못해 선한 본성을 잃어버리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선의 보존 유무에 따라서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관계와 같은 구조가 생긴다고 말합니다. 그러므로 지배자들은 통치를 통하여 자신이 지닌 선한 성품을 피지배자들에게 베풀며 살아야 한다고 전합니다.
이미지 출처: 강진신문
순자(BC 300~230)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성악설을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인간은 이익을 좋아하고 손해를 싫어하며 좋은 목소리와 예쁜 용모를 탐하는 성향이 있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인간들이 악한 본성을 지닌 채 욕구를 좇으며 살아간다면 반드시 다툼이 일어나 사회가 혼란에 빠진다고 하였습니다.
이미지 출처: 가천대신문
그러나 순자는 누구나 후천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면 악한 본성을 선한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순자는 인간의 본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인간이 지켜야 할 법과 예절을 만들고, 이를 어길 시에 벌을 엄격하게 적용하여 사람들이 선하게 살아가도록 이끌어야 한다고 했습니다.